구글 AI 위스크(Whisk) 사용법, 무료로 동화책 쇼츠 그림 뚝딱 그리기
by 스토리위너코치
구글에서 뛰어난 이미지 생성 툴인 위스크(Whisk)를 한국에도 공개했습니다.
위스크는 길고 상세한 프롬프트 입력 없이도, 이미지를 활용해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는 새로운 AI 도구인데요.
동화책이나 쇼츠 그림, 웹툰, 책 속의 일관성 있는 삽화를 그릴 때 활용하기 너무 좋은 툴이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위스크 사용법에 대해서 소개를 해보려고 합니다.
자세한 사용법과 팁은 행글라이터 영상에 담았습니다.
[영상 순서]
(00:00~) 위스크가 만든 동화 쇼츠 그림들 예시
(00:09~) 인트로 (위스크 기능 소개)
(01:59~) 위스크 자세한 사용법
(06:14~) 위스크가 그림 그려주는 원리(원리를 알면 더 잘 그릴 수 있어요)
(08:01~) 일관성 있는 동화책 혹은 쇼츠 그림 그리기 (소녀와 곰 동화 예시)
(08:31~) 1단계: 스토리 만들기
(09:15~) 2단계: 주인공, 배경 이미지 준비
(10:23~) 3단계: 간단한 프롬프트 준비하기 및 그림 그리기
(11:12~) 팁1: 이미지에 동일한 소품을 추가하고 싶을 때
(12:11~) 실화 바탕의 보이텍(곰) 쇼츠 그림 만든 과정
(12:44~) 팁2: 그림 마음에 들게, 세부 조정하는 법
(14:37~) 팁3: 그림이 보호 정책들 때문에 생성되지 않을 때 팁
(15:47~) 마무리 및 소감
위스크 사용법
사용법은 간단한데요.
위스크를 사용하기 위해 구글 랩스 사이트로 가야 합니다.
구글 랩스라는 건 구글의 최신 생성형 AI 모델들을 실험할 수 있는 공간을 말하는 건데요.
여기서 다양하게 그림을 그려볼 수가 있습니다. (무제한은 아니고, 어느 정도 그리면 제한이 되고 시간이 흐른 후 다시 그릴 수 있습니다.)
원래 이 기능이 지난 12월 16일에 미국에서 먼저 공개된 기능인데요, 얼마 전에 한국에도 공개가 되었습니다.
사이트로 와서 처음부터 새로 시작을 눌러 주고요.
구글 위스크 화면
내가 원하는 피사체, 장면, 원하는 그림 스타일을 이미지로 올리고, 하단에 프롬프트를 올리면 이미지를 만들어줍니다.
이미지가 없을 경우에는, 네모 박스를 누르면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데, 그때 프롬프트를 넣어서 내가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어줘도 돼요. (프롬프트는 영어로)
구글 위스크 예시 화면
위 그림은 피사체로는 곰 이미지와 소녀 이미지를 올리고, 장면과 스타일은 각각 아래 이미지를 넣어서 생성한 건데요.
프롬프트는 곰과 소녀가 즐겁게 이 거리를 걷고 있다, 이걸 영어로 번역해서 넣었습니다.
장면과 참조할 스타일로 올린 이미지
꽤 잘 만들어주더라고요.
아래 이미지들이 그런 식으로 해서 만든 이미지들인데요.
일관성을 살리는 그림을 그리는 면에서 미드저니를 따라올 AI 그림 툴이 없을 거라 생각했는데, 위스크가 대안이 될 수 있을 거 같더라고요. 미드저니보다 사용법도 쉽고 무료로도 활용할 수 있어서, 그림에 관심 있다면 활용해보시면 좋겠습니다.
#행글라이터 레터 4, 행글라이터 레터에서는 AI 활용법, 전자책 출판, SNS 운영 등 나만의 콘텐츠로 행복한 스토리위너가 되고 싶은 분들을 위한 유용한 콘텐츠를 전달해드립니다